글
카테고리 없음 2014. 10. 23. 17:23가스워머 효용성과 위험성
요즘 급격히 날씨가 쌀쌀해 지면서 캠핑가서 가스버너를 사용하는경우 화력이 떨어지고, 가스가 떨어져 갈수록 가스통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기화가 잘 안되서 그냥 두면 불이 꺼지는 상황까지 발생한다.
야외라면 불이꺼진채 가스가 흘러나와도 금방 날라가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지만, 텐트안에서 조리를 하는경우 때때로 흘러나온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불붙기 좋은 상태의 농도가 되었을 때 불꽃을 만나면 '펑'하고 순간 연소를 하는 경우가 있다. (가스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농도가 너무 옅어서도 너무 많아서도 안되고 적정한 농도가 되어야 불이 붙고, 만일 불이 붙는다 해도 잠깐동안 빠져나온 가스로는 영화에서 보는 것 처럼 큰 폭발을 일으키고 여기저기 불이 붙는 상황은 일어나지 않으니 놀라지 말고 침착하게 대응하시길)
일반적인 버너나 스토브에서는 액화된 가스가 가스통속에서 기화가 되어 노즐을 통해 나오면서 공기와 섞이고 적당한 농도의 희석된 가스에 불이 붙어 연소된다.
기화 : 초등학교때 배운바에 의하면 고체나 액체가 기체로 변화는 과정을 '기화'라고 하고 기화가 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는 다고 배웠다.
우리가 쓰는 부탄가스는 가스통 안에서 기화가 일어나므로 가스통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주변의 온도까지 떨어져서 요즘 같이 대기가 차서 기온이 가스통의 온도를 일정이상으로 유지하지 상황에서는 가스통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여져서 가스통 표면에 이슬이 맻히는 상황이 발생한다.
화력을 지속시켜주기 위해서는 가스통에 계속해서 열을 공급해 주어 기화가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해주어야 하는데... 통을 만져봤을 때 미지근한 정도가 유지되도록 해주면 좋다.(지나치게 뜨겁게 열을 가해주는 것은 가스통 내부에 압력이 팽창하여 통이 폭발하거나 파열되어 순간 가스가 분출 되어 화염방사기가 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하시길...)
이 때문인지? 캠핑소품중에 가스워머(?)라는 출처불명의 명칭을 가진 소품을 쓰는 분이 있는것 같다.
(사진은 인터넷에서 퍼온 사진으로 특정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얼마전에 어느 커뮤니티에서
와이프가 모자뜨고 남은 실로 떠준 가스워머를 캠핑용 이소가스통에 감싸고 불을 붙히다가 가스가 새서 가스워머에 불이 붙고, 급히 가스통과 버너를 분리했는데도 계속 불이 붙어있어서 놀란 나머지 발로 찼는데 그만 남의 텐트로 굴러들어가서 큰 사고가 날 뻔했다는 글을 본적이 있다.
상황을 연상하면 코믹하지만 큰사고가 없어서 다행이지 사람이 있는 텐트에 불이라도 옮겨 붙었으면 대형 사고로 발전 할 수 있는 상황임을 생각하면 아찔하다.
가스워머가 탄생하게 된것은... 아마도 사람이 옷을 입으면 따뜻함을 느끼는 것과 같이 가스통도 털실로 감싸면 따뜻해 질것 같다는 생각에서 만든 것 같은데... 과학적으로 근거가 전혀 없는 발상이다.
사람이야 음식을 먹고 음식이 소화되면서 신진대사를 통해 체내에서 스스로 열이 발생하고 옷을 입으면 외부로 빼앗기는 열을 잡아주기 때문에 따뜻함을 느끼는 것이다.
가스통은 스스로 열을 내지 않고 오히려 기화를 통해 외부의 열을 흡수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절대 가스통을 뎁혀주지 못하고. 오히려 차가워진 가스통이 그나마 조금이라도 더 온도가 높은 대기와 마주해서 온도가 높아질 기회를 차단한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불이 아주 잘 붙고 불타면 녹아서 가스통에 늘어 붙어서 잘 꺼지지 않고 계속 탈수 있는 재질을 가스통에 붙여서 사용하는 것은 엄청 위험한 짓이라는 것을 명심했으면 좋겠다.
야외에서 안전을 위해 한가지 추가 하자면
가스통에 불이 붙어도 금방 폭발하지 않습니다. 통 전체에 한참 동안 열을 가해야 터지고 가스가 있는 경우도 애초에 설계된 약한 부분이 가장 먼저 파열되어 그쪽으로 가스가 분출 되기 때문에 큰 폭발이 일어나지는 않습니다.(분출되는 가스에 불이 붙어 화염방사기 처럼 불꽃이 일어나니 분명 위험하긴 합니다.)
다만 수초내에 꽝 하고 폭발하는 것이 아니고 가스의 특성상 공급만 차단해 주면 불이 바로 꺼지니 침착하게 대응하시면 안전하게 불을 제압 할 수 있습니다.
간절기 및 동계 캠핑시 텐트안에서 화기를 다루는 일이 많으니 무엇보다 안전이 제일 중요합니다.
RECENT COMMENT